본문 바로가기
생활정보

2022년 청년도약계좌과 청년희망적금을 비교해보자

by ajhf 2022. 3. 17.
반응형

오늘은 윤석열 후보가 제20대 대통령으로 당선되면서 나온 정책공약 중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위해 만든
청년 도약 계좌에 대해 알아보고 지난 2월에 모집됐던 청년희망적금과 비교해보겠습니다

청년 도약 계좌


윤석열 당선인이 공약으로 내세운 청년 공약 중 하나인 청년 도약 계좌는 청년들의 자산형성을 돕고
목돈을 마련할 수 있도록 정부에서 도와주는 금융상품인데요 그 내용을 알아보겠습니다.

가입대상은 청년희망적금과 같은 만 19세에서 34세의 청년이 가입할 수 있고 일정액을 저축하면 정부가
가입자의 소득에 따라 장려금을 지급하여 10년 만기가 되면 1억 원의 목돈을 만들 수 있는 사업입니다.

또한 생애최초 주택구입이나 장기 실직, 장기 휴직, 재해 등의 사유가 있을 때에는
중도 인출도 가능하고 재가입까지 가능합니다.
청년희망적금은 사실 중도 해지 시 재가입이 불가능했습니다.

청년희망적금과 차이점은 월 납입액이 70만 원으로 더 많아졌고 만기도 10년으로 대폭 늘어났으며
혜택 금액도 큰 차이가 납니다.
자세한 내용을 살펴보겠습니다.

▶가입대상: 만 19세~34세 소득이 있는 청년
▶ 유형: 주식형, 채권형, 예금형 중 선택 가능 10년 만기
▶월납입: 월 최대 70만 원
▶정부지원: 월 최대 40만 원
▶ 생애최초 주택구입, 장기 실직 장기 휴직하는 경우 중도 인출 가능하고 재가입도 가능
▶연소득 2,400만 원 이하는 2022년 청년 내일 저축계좌의 가구소득과 재산기준을 적용
▶연소득 2,400만 원 이상 구간에도 가구소득과 재산기준 적용
▶ 연소득 4,800만 원 이상은 납입액의 일부에 대해 소득공제혜택 제공
▶월 70만 원씩 연 3.5% 복리계산 10년 납입하면 1억
▶소득이 높다면 직접 장려금을 지급하는 대신 비과세 및 소득공제 혜택
▶ 유사제도와 중복가입 불가로 청년 희망 적금 가입자는 중복가입이 되지 않습니다.
▶ 가입기간 중 소득이 상승하면 자동적으로 다른 구간의 혜택이 적용됩니다.

  고정정부기여 본인기여한도 저축비례정부기여한도 본인+정부
연소득2,400만원이하 20 30 20 70
연소득3,600만원이하 0 50 20 70
연소득4,800만원이하 0 60 10 70
연소득4,800만원초과 0 70 0 70

청년 도약 계좌와 청년희망적금 비교

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
만 19세~34세 만 19세~34세
월 최대 70만원납입 월 최대 50만원 납입
근로, 사업 소득이 있는자 총급여 3,600만원이하
(종합소득 2,500만원이하)
소득구간별 매월 40만,20만,10만,비과세혜택등 1년차 2%,2년차 4%금리적용
주식형 채권형 연금형중선택 적금형
유사제도와 중복지원불가,
중도해지시 재가입가능
중도해지시 재가입불가



오늘은 이렇게 새롭게 시행될 청년 도약 계좌와 기존의 청년희망적금을 비교해보았습니다.
아직까지 공약만 있을 뿐 구체적인 지원책 마련이나 자금조달 계획은 나오지 않은 상태이지만
청년희망적금보다는 폭넓은 혜택을 주는 것만은 분명한 것 같습니다.
또 청년희망적금 가입자들이 새로운 정책에서 배제되지 않도록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합니다.

청년도약계좌
반응형

댓글